본문 바로가기

학습/이론

소수정리 (소수의 분포와 응용의 수학적 경이)

반응형

 

소수 정리란?


소수 정리는 다음과 같은 명제입니다.

 

여기서 π(x)는 x 이하의 소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함수입니다. 예를 들어, π(10)=4, π(100)=25입니다. 즉, 소수 정리는 x가 커질수록 π(x)가 x/lnx에 근사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이것은 또한 어떤 큰 수 N에 가까운 정수 하나를 무작위로 골랐을 때 그 정수가 소수일 확률이 1/lnN에 근사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소수의 분포는 더 큰 수로 갈수록 드물어진다는 것입니다.

 

 

어떻게 증명되었나?


소수 정리는 1798년에 아드리앵마리 르장드르가 처음으로 제안하였습니다.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도 1792년과 1793년 사이에 소수 정리를 연구한 적이 있지만 발표하지 않았습니다. 1896년에는 자크 아다마르와 샤를장 드 라 발레푸생이 각각 독립적으로 증명하였습니다. 이 증명은 해석적 수론, 즉 리만 제타 함수를 통한 복소해석학적 기법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해석적 증명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다음과 같은 동치 관계를 보입니다.

여기서 θ(x)는 제2종 체비쇼프 함수이며, ψ(x)는 폰 망골트 함수입니다. 반면, 리만 제타 함수의 로그 도함수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여기서 Λ(n)은 폰 망골트 함수입니다. 두 합을 서로 연관짓기 위해, 다음과 같은 복소해석학적 보조정리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제타 함수와 체비쇼프 함수를 다음과 같이 연관지을 수 있습니다.

이제, 우변이 극한에서 x로 수렴함을 경로적분법으로 증명할 수 있습니다.
소수 정리의 초등적 증명은 1949년에 아틀레 셀베르그와 에르되시 팔이 발표하였습니다. 이 증명은 복소해석학을 사용하지 않고, 다츠자와 지카오나 셀베르그의 등식을 이용하여 증명합니다. 초등적 증명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다음과 같은 점근적 등식을 보입니다.

여기서 ψ(x)는 폰 망골트 함수입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이 함수의 상극한을 정의합니다.

 

만약 이 상수가 양수라고 가정하여 모순임을 증명합니다. 정의에 의해 상수부분을 뗀 나머지 영으로 가는 함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위 적분형태의 부등식과 이 부등식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유사한 형태의 부등식을 유도합니다.

여기서 A>0가 됩니다. 여기서 임을 유도하여 모순을 이끌어 낸다.

 

 

 

 

 

 

 

[또다른 정보]

-소수 정리는 리만 가설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리만 가설은 리만 제타 함수의 복소수 해에 대한 추측으로, 수학에서 가장 유명하고 어려운 미해결 문제 중 하나입니다. 리만 가설이 참이라면, 소수 정리는 더욱 정확하게 표현될 수 있습니다.

 

-소수 정리는 암호학과 보안에도 응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RSA 암호는 큰 소수를 이용하여 공개키와 개인키를 생성하고, 메시지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 방식입니다. 소수 정리는 큰 소수를 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소수 정리는 쌍둥이 소수와 같은 흥미로운 주제들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쌍둥이 소수란 2만큼 차이나는 두 소수의 쌍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3, 5), (11, 13), (17, 19) 등이 쌍둥이 소수입니다. 쌍둥이 소수가 무한히 많은지 여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소수 정리를 이용하여 쌍둥이 소수의 분포와 밀도를 근사적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소수 정리는 수학의 기본적인 문제 중 하나로, 오랫동안 많은 수학자들의 도전과 탐구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그 결과로 다양한 수학적 분야와 기법이 발전하였으며, 여러 가지 의미와 응용을 발견하였습니다. 소수 정리는 우리가 자연에서 발견하는 규칙과 무작위성 사이의 균형을 보여주는 아름다운 정리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