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소식

익룡의 DNA 발견 (발전하는 DNA 기술)

반응형

 

 

 

[요약]

익룡의 DNA 발견에 대해 더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중국 척추고생물학 고인류학연구소의 알리다 바이을 교수 연구진은 “중국 북동부 랴오닝성에서 발굴한 1억2500만 년 전 익룡 화석에서 세포핵이 들어있는 연골세포를 찾아냈다”고 발표했습니다 . 이 익룡은 ‘카우딥테릭스 (Caudipteryx)’로, 중생대 백악기 전기 (약 1억 3000만 년 전~1억 2000만 년 전)에 살았습니다. 몸길이는 1m 정도이며, 뒷다리 두 개로 걸었던 수각류 (獸脚類) 공룡입니다. 학명이 ‘꼬리 깃털’이란 의미대로 새처럼 깃과 꽁지가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

연구진은 공룡의 대퇴골에서 골반 연골 조직을 추출했습니다. 오랜 세월 규산을 포함한 지하수가 깊이 스며들어 세포 조직이 이산화규소 (실리카)로 치환된 상태였습니다. 이러한 규화 (硅化) 덕분에 세포가 잘 보존될 수 있었다고 연구진은 밝혔습니다 . 연구진은 세포핵에 결합하는 헤마톡실린이라는 화학물질로 연골 세포를 염색했습니다. 그러자 한 세포에서 핵이 보라색으로 드러났습니다. 핵 안에는 그보다 더 짙은 보라색의 염색질도 선 모양으로 나타났습니다. 염색질은 DNA가 엉켜있는 부분입니다. 공룡의 DNA를 눈으로 확인한 셈입니다 .

이번 발견으로 앞으로는 실제 공룡 화석에서 직접 DNA를 추출해 해독하고, 심지어 영화처럼 공룡을 복제할 수 있다는 기대까지 나온다고 합니다. 하지만 DNA 해독을 하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처럼 오래된 화석의 DNA를 해독한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자세하게]

익룡은 과거에 살았던 거대한 파충류로, 현재까지는 화석으로만 그 존재를 알 수 있습니다. 익룡의 DNA는 세포핵에 들어있는 염색질로부터 추출할 수 있습니다. 염색질은 DNA가 엉켜있는 부분입니다. 익룡의 DNA를 발견하면, 그들의 생김새나 특징을 더 잘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화 '쥬라기 공원’처럼 익룡을 복제하는 것도 가능할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익룡의 DNA를 발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왜냐하면, 익룡은 수억 년 전에 멸종했다고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DNA는 시간이 지날수록 자연적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오래된 화석에서 DNA를 찾아내고 해독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생각됩니다. 실제로, 지금까지 DNA가 해독된 가장 오래된 동물은 165만 년 전 매머드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과학자들은 최근에 1억2500만 년 전 공룡 화석에서 세포핵과 염색질을 발견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이것은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오래된 공룡 DNA로 기록될 수 있습니다. 이 공룡은 카우딥테릭스라는 이름으로, 새처럼 깃과 꽁지가 있는 작은 공룡입니다. 과학자들은 이 공룡의 대퇴골에서 연골 조직을 추출하고, 세포핵에 결합하는 화학물질로 염색하여 보라색으로 드러난 세포핵과 염색질을 관찰했습니다.

이 공룡의 DNA를 해독할 수 있을지는 아직 알 수 없습니다. 이러한 오래된 화석의 DNA를 해독한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연구는 공룡의 생물학적 정보를 얻기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익룡의 DNA를 발견한 것은 과학계의 놀라운 발견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것은 과거에 살았던 동물들에 대해 더 깊이 알아가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동시에 창조론과 진화론의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익룡의 DNA가 수백만 년 동안 남아있을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이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창조론자들은 성경적인 짧은 시간 틀을 바탕으로 익룡의 DNA가 보존될 수 있었다고 주장하며, 진화론자들은 오랜 시간 틀을 바탕으로 익룡의 DNA가 보존될 수 있었다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논쟁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익룡의 DNA 발견으로 얻을 수 있는 정보)

DNA는 생물의 유전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익룡의 DNA를 분석하면 익룡의 생김새, 행동, 진화 과정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익룡의 DNA를 다른 생물의 DNA와 비교하여 익룡이 다른 생물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반응형